우유를 마시지 않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부족한 영양소.

우유를 마시지 않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부족한 영양소.

우유를 마시지 않는 초등학생은 우유를 마시는 학생보다 16배나 더 많다. 초등학생의 약 60%가 우유를 마셨지만, 고등학생 3명 중 1명만이 우유를 마셨습니다.

18일 한국식품소통포럼(KOFRUM)에 따르면 공주시 기술가정교육학과 김선효 교수팀은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18세 초·중·고생 1만43명의 우유 섭취량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영양학회가 발간한 ‘영양보건저널’ 최근호에 소개됐다. 

초중고교생의 흰 우유 소비량은 2010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초코우유, 딸기우유 등 가공유 소비가 2012년 이후 증가했다.

김 교수팀은 하루 소량의 우유라도 마신 학생은 우유 섭취군으로, 전혀 우유를 마시지 않은 학생은 우유 비흡수군으로 분류했다. 전체 학생의 절반이 우유를 먹는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우유 섭취율은 학교 수준별로 달랐다. 

초등학생의 59.7%가 우유 마시기 그룹에 속해 있었다. 중학생의 44.7퍼센트와 고등학생의 35.2퍼센트만이 우유 마시기 그룹에 포함되었다.

우유를 전혀 마시지 않은 비우유 음주단속반 학생들은 체내에 칼슘이 부족할 위험이 높아 뼈와 치아 건강을 좌우했다. 우유 없는 음주단속 초등학생의 칼슘 부족 위험도는 우유 섭취 집단 초등학생보다 15.7배 높았다. 우유 비음주군의 칼슘 결핍 위험은 중학생이 12.1배, 고등학생이 10.3배 높았다.

중학생(12~4세)은 비우유와 우유 섭취 그룹에서 모두 초·고등학생보다 하루 칼슘 섭취율이 낮았다. 우유를 마시지 않는 그룹의 중학생들 중 단지 37.0%만이 하루 권장 섭취량에 비해 칼슘을 섭취했다. 우유 섭취 그룹의 중학생들도 하루 칼슘 섭취량의 72.1%를 소비했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중학생들의 하루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보다 매우 낮다. 학교 내 우유급식 참여율이 초등학생보다 낮기 때문이다. ‘칼슘의 제왕’으로 알려진 학교급식에서 우유를 받는 중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칼슘 섭취 부족을 초래했다.

2015년 우리나라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르면 남자 중학생의 하루 권장 칼슘 섭취량은 1000mg(여 900mg)으로 초등학생(남 800mg, 여 800mg)이나 고등학생(남 900mg, 여 800mg)보다 많다.

중등부에서는 생애주기 동안 최대 골량 축적이 이뤄지기 때문에 이때 많은 칼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어린이청소년기에 매일 2잔 이상의 우유를 섭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학교 우유 급식을 통해 우유 섭취량을 늘리면 성장에 필수적인 칼슘 등 전반적인 영양 상태가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우유는 칼슘이 풍부한 식품이다. 한 컵(약 200ml)은 약 210mg을 함유하고 있다. 우유의 칼슘은 소화 흡수율과 체내 이용률이 뛰어나다. 우유는 칼슘 흡수를 돕는 유당과 비타민 D를 함유하고 있다. 국내 영양소 섭취 기준에 따르면 어린이와 청소년은 하루 2컵(400ml)의 우유를 마시는 것이 좋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